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발전 및 에너지 효율화 기술 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1–3) 지난 수십년간 이러한 에너지 기술 발달의 일환으로 열전 소재에 관한 관심이 매우 커지고 있다. 열전 소재는 높은 신뢰성, 무소음, 에너지 직접 변환이라는 장점으로 인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열전 소재의 성능은 열전 성능 지수(figure of merit,
zT)에 의하여 결정된다. 열전 성능 지수
zT = S2σ/κ 으로 정의되며 S,
σ, κ 는 각각 제벡 계수(Seebeck coefficient),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이다. 이러한 열전 성능 지수를 결정하는 상기의 세 가지 인자는 벌크(bulk) 열전 재료에서는 모두 전하 농도(carrier concentration)에 의하여 결정 되고,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어 각각의 인자를 동시에 향상시키는데 그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4,5) 즉, 열전 성능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전도도와 제벡 계수의 증가, 열전도도의 감소가 요구되나 열전도도를 낮추게 되면 동시에 전기전도도가 저감이 되고, 전기전도도를 높이게 되면 제벡 계수가 낮아지게 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나노 소재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전하 수송에 영향을 주지 않고 포논(phonon)의 선택적 산란을 통한 열전도도 저감
6,7), 캐리어 필터링(carrier filtering)을 통한 제벡 계수의 향상
6) 등 열전 소재의 성능 지수 향상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나노 소재의 내구성 및 반응성 등으로 인하여 실제 열전 모듈 적용 한계로 인하여 실용화되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많은 열전 소재 중 Bi
2 Te
3계 열전 소재는 뛰어난 상온 열전 특성으로 인하여 폐열 발전 및 냉각에 있어 가장 주목받는 무기 소재 중 하나이다.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s)의 발전과 더불어 짧은 배터리 성능의 한계를 체온을 이용한 열전 발전(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을 통하여 극복하고자 하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무기 소재 특유의 기계적 취약성 및 유연성 부족으로 인하여 형상의 변형이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연 소재와 무기 열전 소재 간의 복합체를 만드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세대 이우영 교수 연구팀은 Ge powder와 PEDOT:PSS의 복합체를 손쉬운 방법으로 만들어 그 열전 특성이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8) UC San Diego의 Renkun Chen 교수 연구팀은 Bi2Te3 기반의 p-type 및 n-type 의 소재를 방전 가공(spark erosion)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이를 유기 용매에 섞어 스크린 프린 팅(screen printing)하여 열처리함으로써 높은 열전 성능 지수를 가질 수 있음을 보였다.
9,10) 이외에도 한국 기계연구원의 한승우 박사 연구팀은 체열을 이용 냉 가압(cold press) 기법을 이용하여 열전 후막을 유연 기판위에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열전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손쉬운 방법을 이용하여 유연 열전 소자에 응용가능한 유무기 복합 열전 소재를 제조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
11) 기존에 보고된 연구 사례들을 통해 복잡하지 않은 공정들로 제작한 열전 재료의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유연성이 우수한 전도성 고분자의 함유량에 따른 Bi
2 Te
3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많지 않고, 앞서 언급한 논문들을 바탕으로 실험을 설계하는 것이 ZT 향상에 기여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
2 Te
3 파우더를 볼 밀링(ball milling)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이를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4-styrenesulfonate) (PEDOT:PSS)에 분산한 후 기판위에 스크린 프린팅 하였으며, 그 후 농도에 따른 전기적 열전 성능을 관찰하였다.